티스토리 뷰

 


 

작곡가별 개성적 주법


 



슈베르트(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슈베르트는 "피아니스트-작곡가"의 대열에 들지 않는, 낭만주의 시대의 드문 피아노 작곡가이다. 슈베르트의 피아노 음악이 평가절하되는 경향이 있었지만 연구에 의해 최근 들어 그러한 편견은 사라지고 있는 편이다. 그의 피아노 음악이 종종 "피아니스틱"하지 못한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여기서 피아니스틱하지 못하다는 것은 화려하지 않느냐는 의미가 아니라 전통적인 피아노 주법으로 쉽게 넘어가지 않는 까다로운 패시지 들을 담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름다움이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 슈베르트 피아노 음악의 묘미는 마치 실내악을 연주하는 듯한 독특한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3중주 혹은 4중주를 명백히 암시하는 구절들이 그의 피아노 음악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그러한 부분의 연주는 피아노 주법에 의존하기보다 세 대 혹은 네 대의 관현악기 주자를 상상해 봄으로써 쉽게 해결된다. 



2022.07.22 - [음악학] - 슈베르트(Franz Schubert, 1797-1828) 생애, 피아노 음악

 

슈베르트(Franz Schubert, 1797-1828) 생애, 피아노 음악

슈베르트(Franz Schubert, 1797-1828)  슈베르트는 피아노곡 작곡가로서 보단 가곡의 작곡가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과도기에 태어나 짧은 생애 동안 수많은 곡

aedinnnnna.tistory.com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


 


 멘델스존은 모셸레스(Moscheles : 1794-1870)의 제자였으며 모셸레스는 클레멘티의 제자였다. 멘델스존에게서 단정함과 손가락의 민첩성이 두드러지게 요구하는 유쾌하고 활달한 음악이 그러한 클레멘티 계보의 영향을 강하게 나타낸다. 그의 피아노 주법은 동년배 작곡가(쇼팽이나 리스트)와 비교하면 혁신성에 있어서 특별히 눈에 띄는 것이 없다. 멘델스존은 10대 초반 시절 피아니스트로 관심이 있었지만, 15세의 어린 나이에 교향곡 작곡, 17세에 작곡 등 관현악에 더 관심을 기울였다. 피아노에만 정신을 쏟기에는 너무 다재다능했으며 멘델스존의 1841년 작품은 여러 종류의 피아노 주법을 펼치고 음악적 완성도나 기교 과시에 있어서 절대 빠지지 않는다. 각 변주곡의 아이디어는 당시에 유행했던 여러 기교의 면모를 보여주는 듯 흥미롭다.



2022.07.23 - [음악학] -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 생애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 생애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 생애  북부 독일 함부르크의 명망 있는 유대인 가문에서 4남매 중 둘째로 태어나 유복하게 성장했다. 할아버지는 독일 계몽시대 철학자이자 라이프

aedinnnnna.tistory.com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낭만주의 작곡가 중 슈만만큼 자신의 내면세계를 음악에 표출한 경우는 없다. 자기 고백적 성격이 짙은 그의 음악은 19세기 작품 중에서도 지극히 낭만적이며 환상적인 분위기를 보인다. 슈만의 작곡 초기에는 슈베르트, 베버, 훔멜, 모셸레스 등의 음악을 모방하려 했던 것 같다. 즉, 고전파의 주법들을 답습하려 했던 흔적이 있다. 

 슈만의 내성적이고 복잡한 신경증적 기질은 화려함을 위한 장식적인 주법보단 음악 텍스처(texture) 및 화성, 리듬 변화보다 미묘한 효과들에 더 집중하게 했다. 슈만 피아노 음악의 화려한 악구들은 많은 부분 춤곡이나 행진곡풍 성격에서 비롯되는데 춤곡풍 악구에서는 왼손의 코드나 옥타브, 도약이 많아 묵직하고 시끌벅적한 분위기를 낸다. 이러한 성격은 슈만 피아노 작품이 "가면무도회"적 특징을 띠고 있는 것과 상관있다. 다양한 인물의 등장, 곳곳에 나타나는 춤곡, 계속해서 바뀌는 분위기 등 무도회 적인 곡의 성격은 종종 슈만 음악을 '변덕스럽다'고 표현하게 만든다.

 그의 피아노 음악 주법은 피아니스트의 손으로 만들어졌다는 친밀감이 들게끔 하는 그런 것이다. 인위적이거나 까다롭지 않고 손이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쓰여 있다. 그런데도 고전적이거나 상투적인 패턴과는 다르다. 음들은 반음계 사이를 유연하게 흐르며 전형적 패턴의 굴곡과는 다르게 움직인다. 지나치게 자주 곡의 성격이 바뀌어 흐름이 끊겨버리는 경우도 있지만, 슈만의 피아노 음악에서 느껴지는 것은 성악을 '모방'한 노래가 아니라 피아노만의 노래가 따로 있다는 것이다. 



2022.07.23 - [음악학] -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 생애, 클라라 슈만(Clara Schumann, 1819-1896), 피아노 음악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 생애, 클라라 슈만(Clara Schumann, 1819-1896), 피아노 음악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  슈만은 19세기 초 낭만주의적 정서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출되는 음악을 남긴 작곡가이다. 여러 장르에서 작품을 남겼으나 특히 피아노 음악에서 사진의

aedinnnnna.tistory.com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1810-1849)

 




 쇼팽의 이력은 상당히 독특한데, 그가 21세에 프랑스 파리에 정착하기 전 폴란드에서 받은 교육은 앞으로 그가 음악 어법 역사에 이루게 될 혁신적 면모를 암시해 줄 만한 것이 없었다. 폴란드를 떠나오기 전 피아노 협주곡 1번, 2번 대다수를 이미 작곡해 놓은 상태여서 쇼팽 특유의 어법이 파리에 머무는 동안 당시의 성향과 유행을 반영한 결과물이라 보기 어렵다. 순전히 자신만의 개성으로 피아노 음악의 결정체를 만들어 냈다.

 근본적으로 쇼팽 작품 스타일은 반주가 붙은 노래의 형태이다. 노래를 꽉 찬 화음으로 화음 화하거나, 반주 부분을 단순한 반주가 아닌 춤 리듬으로 처리하는 등 여러 섬세한 변주를 선보인다. 윤곽을 바꾸지 않으면서 아티큘레이션과 상대적 강세의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곡의 성격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쇼팽의 선율은 섬세하고 여성적이지만 변주의 폭이 넓다 보니 이전의 '단정한 손가락'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된다. 페달 쓰임새가 그에 이르러 중요한 관건으로 등장하게 된 것도 바로 쇼팽 음악의 다이내믹의 큰 스케일 때문이다. 페달은 레가토를 위해서 필요한 것일 뿐 아니라 화성의 휘광을 제공하기 위해, 혹은 단계적 셈여림의 추진력과 에너지를 위해서도 필수였다. 고르고 민첩한 손가락, 전체적 에너지를 안배할 수 있게끔 손목과 팔의 유연성을 요구했다. 쇼팽의 <Etude>는 상당히 체계화된 관점을 잘 보여준다. 테크닉이 단순히 손놀림의 기술만이 아니라는 것을 이 곡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으며 표현성을 포함한 테크닉의 실체를 최초로 제시한 작곡가이다.

 

2022.07.23 - [음악학] -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1810-1849)의 생애, 음악적 특성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1810-1849)의 생애, 음악적 특성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1810-1849) 생애  쇼팽은 폴란드 바르샤바 근처의 젤라조바 볼라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폴란드에 일자리를 얻으러 온 프랑스인 아너비와 폴란드인 어머니 사이

aedinnnnna.tistory.com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



 리스트는 낭만주의 테크닉의 절정을 이룬 작곡가인데 그의 피아노 테크닉이 이전의 것과 근본적으로 다르게 된 이유는 리스트가 피아노를 마치 오케스트라처럼 소리 내게 하려 했기 때문이다. 전 건반을 휩쓰는 듯한 아르페지오, 3도, 6도, 옥타브, 온음계 및 반음계 패시지, 그럴 뿐만 아니라 트릴, 양손의 화음이나 옥타브로 만들어 낸 트릴, 옥타브로 반음계를 가로지르는 주법은 이전의 음악들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완전히 새로운 시도였다. 얌전히 연주하려 해도 되지가 않은, 팔 전체 및 몸통의 움직임까지 피할 수 없는 악구, 그와 동시에 상당한 체력 소모까지도 각오해야 하는 악구로 들어차게 된다.

 리스트가 파가니니에게서 초인적 기교와 화려함에 눈을 떴다면, 쇼팽은 섬세한 감정을 표현하는 시적인 표현의 가능성을 리스트에게 깨우쳐 주었다. 리스트의 많은 선율이 감미로운 서정성을 발휘하고 있고 이들은 상당이 감각적인 방법으로 반주부와 어우러진다. 물론 이때 선율이 단음에서 옥타브, 화음으로 바뀌게 되면 증폭되는 감정의 밀도에 비례하여 테크닉적으로 난해해져 가는 것은 사실이라 서정성이 반드시 비르투오소의 신비로운 묘기와 분리되는 것은 아니다.

 어린 시절 체르니의 제자였던 리스트는 '기계적인 극단적으로 구사하여 테크닉의 예술화를 이루었다 할 수 있다. 베토벤 협주곡에서 미리 보았던 예견-피아노가 언젠가는 오케스트라와 당당히 맞설 수도 있으리라-는 리스트에 이르러 거의 사실이 되었다. 낭만주의 피아노 주법의 변천이 이렇듯 악기를 휘어잡을 듯한 "커다란 스케일"의 연주로 종착 되었음을 여성 피아니스트에게 씁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2022.08.10 - [음악학] - III. 19세기 중반 이후 피아노 음악.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 생애

 

III. 19세기 중반 이후 피아노 음악.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 생애

19세기 중반 이후 피아노 음악의 전반적 상황  19세기 초는 피아노 음악에서 수없이 많은 레퍼토리를 쏟아내던 시기이다. 오늘날 연주 무대에 가장 자주 들르는 음악은 거의 이 시기에 작곡

aedinnnnna.tistory.com

 

 

 

 

 

 

 

박유미 「피아노 문헌」 음악춘추사(2011) p.106-1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