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1810-1849) 피아노 음악 특성 두 번째, 피아노 작품(소나타, 에튀드, 프렐류드, 발라드)
애딘아 2022. 7. 25. 13:51쇼팽 피아노 음악의 전반적 특성
2. 파리 사교계와 당시의 피아니스트
쇼팽이 파리에 정착하기 시작한 1831년은 우연히 파리에 많은 피아니스트가 거주하면서 활동을 펼치던 시점과 일치한다. 1830년대 이전 100년 동안 피아노의 주요 활동 무대는 빈과 런던이었으나 이후 무대가 파리로 바뀌게 된다. 다양한 국적의 쟁쟁한 피아니스트가 1830년대 파리에 거주했고 당연히 활발한 경쟁의 장이 펼쳐졌다.
낭만 시대 작곡가에게 영향을 미쳤던 파가니니 음악의 경우 쇼팽은 바르샤바에 있을 때 이미 접한 것으로 알려졌고, 파리에 온 후 이들 피아니스트 가운데 리스트의 영향을 받았다. 파가니니의 영향은 에튀드 Op. 10에서 나타나며 리스트의 영향은 파리 시절 작품의 테크닉적인 면에서 많이 나타난다.
많은 피아니스트의 경쟁과 공허한 테크닉, 당시 파리 상류사회 문화의 가장 커다란 요소였던 살롱의 영향은 화려함만을 지향하게 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었지만, 쇼팽의 경우 음악적 사고의 한 표현으로 자연스럽게 피아노 테크닉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위험에 빠지는 일 없이 항상 최상의 예술적 경지에 머물 수 있었다.
쇼팽 피아노 작품 개관
쇼팽은 커다란 형식의 작품으로는 3곡의 소나타를 남겼으며, 그 외에는 다양한 종류의 피아노 장르를 썼다. 24개의 조성을 모두 사용한 면에서 바흐《평균율》 전주곡의 영향을 볼 수 있는 소품인 24개의 전주곡, 여러 종류의 피아노 기교를 총집합시켜 놓은, 12개씩 2벌로 이루어진 에튀드 Op. 10과 25의 작품, 폴란드 민속춤의 성격을 띤 마주르카와 폴로네이즈, 프랑스 살롱의 화려함을 표현한 왈츠, 그리고 쇼팽이 독창적인 방식으로 그 장르를 확립한 발라드와 스케르초 각각 4곡씩 있다.
쇼팽은 24개의 에튀드와 프렐류드, 스케르초, 4개의 발라드를 마치 잘 계획해서 만든 것처럼 체계적인 숫자의 작품 시리즈를 생산했다. 균형 잡힌 시리즈로서의 성격 때문에 그의 작품은 낱개만 아니라 시리즈로도 많이 연주한다. 그릐 음악 장르의 고전적 성격을 엿볼 수 있는 또 다른 측면은 그가 당시의 많은 작곡가와 달리, 표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점이다.
쇼팽의 작품 번호는 기존에 통용되던 Opus 번호와 1960년 M. Brown이 연대별로 정리한 B 번호가 있지만 Opus 번호를 더 널리 사용하고 있다. B 번호는 연대별로 더 정확하긴 하지만 하나의 시리즈를 함께 묶어주지 않기 때문에 개별 악곡마다 다른 번호가 붙게 되므로 더 많은 숫자가 사용된다.
소나타
쇼팽은 3곡의 소나타를 남겼는데 그중 2번과 3번을 자주 연주한다. 1번은 학생 시절 작품으로 쇼팽 특유의 곡으로 들리지 않으며 자주 연주하지 않는다.
소나타 제2번 Op. 35는 1839년에 작곡했다. 1악장은 분명한 소나타-알레그로 형식이며, 재현부는 제1 주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제2 주제에 기초하고 있다. 2악장은 활발하고 생기 넘치며 3악장, 일명 장송행진곡은 이전에 따로 작곡했던 것이고 분리된 악곡으로 연주되었을 것이다. 4악장은 소나타의 피날레라고 하기에는 너무도 빈약하지만 3악장의 어두운 분위기와 4악장의 작품 성격은 시대를 너머서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소나타 제3번 Op. 58은 1844년에 작곡했다. 2악장에 스케르초, 3악장에 느린 악장이 배열된 점이 2번 소나타와 비슷하지만, 3번 소나타는 전체적인 규모나 악곡의 복잡함에 있어 2번보다 확장되어 있다. 1악장은 심포니 적인 당당함으로 시작하여 대위법적인 요소가 가득 차 지성적이고 치밀하게 구성된 느낌을 주면서 진행한다. 4악장은 쉼 없이 진행하는 에너지가 피날레로서 같은 주제를 계속 더한 기교로 반복하면서 흥분과 열기를 축적해 나간다.
에튀드(Etudes)
19세기 초에는 광범위한 수요로 에튀드 및 연습곡이 유행했다. 이러한 연습곡은 대부분 손 연습을 위한 교재였고 연주회용 연습곡은 1830년 이후에 널리 유행했다. 쇼팽의 연습곡은 연주회용으로 쓰였는데, 기교를 완전히 잊을 만할 아름다운 선율이 나오는가 하면 거대한 테크닉적 패시지 흐름 가운데서 도도히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적 동기가 듣는 사람에게 연습곡임을 잊게 만들기도 하는 것이다.
쇼팽 연습곡은 모두 27개인데, 12개씩 2개 시리즈(Op. 10과 Op. 25)와 3개의 작은 연습곡이 그것이다. 각 연습곡은 개별적 기교의 측면에 초점 맞춰져 있다. 그 기교의 성격에 따라 별명으로 불리기도 하며(흑건, 3도, 6도, 옥타브 등) 곡의 성격으로 별명이 붙기도 했다(에올리안 하프, 겨울바람, 나비, 바다, 혁명 등).
프렐류드(Preludes)
쇼팽 이전 시대에 프렐류드, 즉 전주곡이라 하면 자유롭고 즉흥적인 스타일의 악곡으로 흔히 푸가나 춤곡의 도입부로 쓰였다. 쇼팽은 이러한 전주곡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릐 독립된 악곡으로 프렐류드를 쓰고 있으며, 24곡을 하나의 전집으로 묶었다(Op. 28). 피아노에서 이러한 새로운 개념, 즉 다른 어떤 곡의 '전주'가 아니라 독립적으로 전주곡을 쓰게 된 것은 이제 새로운 관습이 되어 이후 많은 후배 작곡가가 프렐류드를 자유로이 쓰게 됐다. 프렐류드는 이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악상을 펼칠 수 있는, 일종의 성격소품과도 같이 쓰게 된다.
발라드(Ballade)
4곡의 발라드는 쇼팽의 작곡 스타일이 한창 무르익어 가 섬세하고 정제된 구조로, 대위법적인 미묘함에 신경 쓰는 당시에 작곡했다. 많은 학자가 쇼팽의 젊은 시절 접했던 미키에비치(Michiewicz)의 글, "Ballade & Romance"를 그의 발라드의 근간을 이루는 영향으로 들고 있다. 즉, 표제는 없으나 바르샤바에서부터 친숙했던 수사학적 모델의 기반에서 특정한 정서를 확립된 디자인에 맞춰 넣을 수 있었다.
박유미 「피아노 문헌」 음악춘추사(2011) p. 198-204
'음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1810-1849) 피아노 음악 기법 특징 (0) | 2022.08.09 |
---|---|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1810-1849) 피아노 음악 두 번째(스케르초, 녹턴, 마주르카, 폴로네이즈, 왈츠, 즉흥곡, 변주곡) (0) | 2022.08.08 |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1810-1849)의 생애, 음악적 특성 (0) | 2022.07.23 |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 피아노 작품(성격소품 모음곡, 소나타), 피아노 음악 기법 특성 (0) | 2022.07.23 |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 음악 작품(가면무도회) (0) | 2022.07.23 |
- Total
- Today
- Yesterday
- 피아노
- 마주르카
- 19세기 러시아 피아노 음악
- 슈만 가면무도회
- 유튜브프리미엄우회불법
- 코로나 증상
- 고잉버스사기
- 고잉버스환불
- 실업급여퇴사사유
- 피아노문헌
- 실업급여실업인정신청
- 쇼팽
- 실업급여수급자격
- 슈만 정신병
- 브람스
- 유튜브프리미엄우회사기
- 수급자격신청
- 리스트
- 19세기
- 작곡 연도
- 다꾸 스티커
- 고잉버스불법
- 스티커 무료공유
- 슈베르트 작품번호
- 코로나 생활지원금
- 슈만 피아노 음악
- 화성
- 아이패드 스티커
- 4월삼척여행
- 헤미올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